작품 소개
<조선의 뒷골목 '이옥 이야기'>는
조선시대의 작가 이옥의 소설을 바탕으로 한 두 번째 작품으로,
극단 연미의 독보적인 작품요소인 신문지로 만든 의상이 적극적으로 활용된다.
이홍 전과 류광억 전, 장복선 전의 세 이야기로 구성되어 있다.
‘이홍 전''에서는 권력의 남용은 결국, 자신에게 돌아와
스스로 화를 입는다는 경고의 메시지를 전하고자 한다.
‘류광억 전’- 예나 지금이나 빈번히 문제가 되고 있는
시험제도의 부정행위와 그 뒤에 깔려 있는 권력자들의 폐단을 꼬집는다.
‘장복선 전’- 점점 각박해지고 흉흉해지는 요즘,
비록 자신의 것은 아니었지만 어려운 사람들을 위해
베품을 실천한 장복선과 같은 인정이
다시 돌아올 날을 기다리는 간절한 마음을 선보이고자 한다.
이렇게 <조선의 뒷골목 '이옥 이야기'>는 위의 이야기로
그러한 현실을 비판하고자 했다.
또한 작품을 통해 우리말의 아름다움과
우리나라 가락과 춤의 아름다움, 해학적인 재미의 감동을 주고자 한다.
2016년 9월 27일(화)~10월 2일(일)
평일 7시30분
토, 일 3시
작품 소개
<조선의 뒷골목 '이옥 이야기'>는
조선시대의 작가 이옥의 소설을 바탕으로 한 두 번째 작품으로,
극단 연미의 독보적인 작품요소인 신문지로 만든 의상이 적극적으로 활용된다.
이홍 전과 류광억 전, 장복선 전의 세 이야기로 구성되어 있다.
‘이홍 전''에서는 권력의 남용은 결국, 자신에게 돌아와
스스로 화를 입는다는 경고의 메시지를 전하고자 한다.
‘류광억 전’- 예나 지금이나 빈번히 문제가 되고 있는
시험제도의 부정행위와 그 뒤에 깔려 있는 권력자들의 폐단을 꼬집는다.
‘장복선 전’- 점점 각박해지고 흉흉해지는 요즘,
비록 자신의 것은 아니었지만 어려운 사람들을 위해
베품을 실천한 장복선과 같은 인정이
다시 돌아올 날을 기다리는 간절한 마음을 선보이고자 한다.
이렇게 <조선의 뒷골목 '이옥 이야기'>는 위의 이야기로
그러한 현실을 비판하고자 했다.
또한 작품을 통해 우리말의 아름다움과
우리나라 가락과 춤의 아름다움, 해학적인 재미의 감동을 주고자 한다.
2016년 9월 27일(화)~10월 2일(일)
평일 7시30분
토, 일 3시